아래 모든 데이터는 2021.08.31 기준이다. 

 

코스피 지수 단위 살펴보기

 

<8/31기준 기본 정보>

코스피의 시총과 매출은 거의 비슷하다. 말인 즉슨 PSR 1배 수준이라는 얘기다. 코스피의 영업이익률(영업이익/매출)은8% 수준이고 순이익률은 6% 수준이다. PER은 약 14.5배이다. 참고로 요 PER은 12개월 선행 PER이 아니라 최근12개월 PER이다.

 

<8/31기준 코스피 시총 탑 20>

삼성전자의 비중이 깡패수준이다. 삼성전자의 순이익이 코스피 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시총 비중이 거의 동일하다.

 

 

섹터 단위 살펴보기

 

<섹터단위로 살펴본 코스피>

 

아이티에 편중된 코스피의 상황을 볼 수 있다. 아래 표를 볼때는 시총의 비중과 매출의 비중, 그리고 시총의 비중과 영업이익의 비중을 비교해서 살펴보면 섹터의 특성을 대강 파악해볼 수 있다.

 

산업그룹 단위 살펴보기

 

<산업그룹별로 살펴본 코스피>

 

기술 하드웨어&장비산업과 자본재 산업이 매우 비교되는 것을 볼 수 있다.  매출 비중은 자본재가 1.5배 이상이지만 시총 비중은 1/5 수준이다.

(아래 모든 데이터의 기준일은 2021년 8월 31일이다)

전 세계 시총규모는 MSCI All Country Index 기준 약 9경 2,231조원 수준이다. 실제로는 더 크지만 일단 대부분의 기관에서 벤치마크로 이용하는 MSCI ACWI기준으로는 저정도라고 감을 잡자.

그렇다면 국가별 / 산업별 시총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?

지역별 시총


미국의 비중이 약 60%로 압도적이다. (다만 위에서 언급했든 MSCI ACWI 지수에 모든 종목이 포함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염두해두자) 아래 표를 보면 한국 주식에만 투자하는 것은 너무나 편중된 포트폴리오를 갖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. 한국 시장이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규모는 단 1.5%이기 때문이다.

<국가별 시가총액 비중>

자료: 블룸버그

산업별 시장 규모 & 시총


이번에는 산업별로 살펴보자. 산업을 볼때는 시장 규모에 대한 감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. 시장규모는 일반적으로 해당 업종 기업들의 매출의 합으로 계산한다. 전체적인 매출을 알고 영업이익률을 이해하면 산업에 대해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며 밸류에이션에 대한 감을 잡는것도 용이하다.

GICS 3 산업분류에 해당하는 69개의 산업에 대한 매출 규모 및 시총을 확인해보자.

<산업별 시장규모(매출)&시총> (단위: 조원, 매출순)

자료: 블룸버그
자료: 블룸버그


시장규모 1위는 음식료 및 필수 리테일 산업이다. 약 5,659조 규모의 시장이다. 한글로 해석하니 감이 잘 오지 않는다. 편입 종목을 보면 이해하기 쉽다. 맥도날드, 스타벅스 등이 Food & Staples Retailing 산업에 속해있다. 그런데 요 산업의 시총은 1349조로 상당히 낮다. 이는 영업이익률이 그만큼 낮고 산업의 성장성도 높지 않은 탓에 낮은 밸류에이션(P/E 등)을 부여받았기 때문이다.

시장규모 5위의 자동차 산업도 살펴보자. 매출과 시총이 거의 동일하다. PSR 기준 1배의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. 반면 시장규모 26위의 반도체&반도체 장비산업은 시장규모는 533조인데 시총은 3,707조이다. 영업이익률(약7% vs 25%)의 차이 및 성장성의 차이에 따라 다른 밸류에이션을 받기 때문이다.

+ Recent posts